투자 공부
-
<하루 한 개념> 기업의 분할(인적분할, 물적분할)투자 공부 2022. 1. 1. 14:52
기업 분할 : 기업의 사업을 독립된 회사로 만드는 작업. 분할에는 2가지 방식이 있는데 바로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입니다. 인적분할 인적분할은 주주의 지분이 나눠지는 분할입니다. 분할 후에는 분할된 두 개의 기업으로 시장에 상장되고 거래됩니다. 내가 만약 A라는 기업의 주식을 100주 갖고 있다고 가정해보죠. A라는 기업이 A와 B로 50대 50으로 인적분할을 한다면 A기업 50주, B기업 50주를 보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원래 하나였던 A에서 A, B 두 개의 기업으로 분리되고 주주들은 그 비율만큼 각각의 기업을 소유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인적분할을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1. 경영효율을 위해서입니다. 크게 연관이 없는 2개 이상의 사업부가 한 회사에 있는 것보다 독립된 기업으로 있는 것이 사업을..
-
<하루 한 개념> 액면분할, 액면병합투자 공부 2021. 12. 31. 14:48
액면분할 : 주식의 액면가액을 일정한 분할비율로 나눔으로써 주식수를 증가시키는 방법 액면가 : 주권 표면에 적힌 금액으로 주식을 처음 발행할 때 정하는 기본 가격. 100원, 500원, 1,000원, 5,000원 등으로 정할 수 있다. 이해하기 쉬운 예로 1998년 500원이 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기사처럼 500원 동전이 100만 원, 200만 원의 가치가 있습니다. 동전의 '액면가'는 500원인데 수요, 희소성 등과 같은 요인으로 '시장가'는 100만 원, 200만 원이 된 것이죠. 이제 액면가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가 되셨으리라 믿고 액면분할 이야기로 넘어가겠습니다. 아까 위에서 액면분할은 액면가를 일정한 비율로 나눠 주식수를 늘리는 방법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왜 주식수를 늘리는 것일까요? 액..
-
<하루 한 개념> 주가에 긍정적인 요소(무상증자, 기업의 투자 )투자 공부 2021. 12. 30. 14:40
오늘은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무상증자와 기업의 투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무상증자 유상증자는 자금이 부족한 기업에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주식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보통 현재 거래되고 있는 주가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새로 발행하기 때문에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낮은 가격으로 주식 공급량이 늘어나기 때문이죠. 무상증자도 주식수가 늘어나는 면에서는 비슷할 수도 있지만, 무상증자는 유상증자와는 다르게 공짜로 주식을 나눠주는 것입니다. 공짜로 주식을 준다고 해서 내가 투자한 금액이 2배로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내가 100주를 갖고 있다면 100% 무상 증자 시 200주로 늘어나고 주가는 반대로 50% 가격이 내리게 되죠. 그럼 결국 기업가치에도 변화가 없는데 무슨 ..
-
<돈 공부는 처음이라> Part 2 정리투자 공부 2021. 12. 29. 16:17
지난번 포스팅한 Part 1 정리에 이은 Part 2 정리 포스팅입니다. Part 1을 보지 못하신 분들은 Part 1도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돈 공부는 처음이라 - Part1 정리 제 돈으로 산 첫 '돈'관련 서적인 '돈 공부는 처음이라'. 여름에 한 번 읽었는데, 다시 공부할 겸 이번에는 part별로 정리해볼까 합니다. PART 1 : 삶은 결국 돈의 한 조각이다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sky-entertain.tistory.com Part2 돈의 실체를 마주하다. 알면 알수록 불편해지는 돈 이야기 ● 남의 돈에 자신의 삶을 버리지 마라 ● 30년간 저축해도 집 한 채 못 가지는 현실 ● 한강의 기적은 더 이상 우리 이야기가 아니다 ● '욜로'는 현재밖에 즐길 수 없는 현실의 자화상이다 남의 돈에..
-
<하루 한 개념> 메자닌 그게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9. 12:26
안녕하세요! 어제 하루 약 먹고 푹 쉬었더니 멀쩡해져 돌아왔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은 "메자닌"입니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포스팅에서 잠깐 언급했었죠.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돈이 있어야 연구 및 개발도 하고, 공장도 짓고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죠. 빚이 많다면 빚을 sky-entertain.tistory.com 메자닌 메자닌은 주식과 채권의 특성을 모두 가진 투자를 이야기합니다. 즉 원금과 확정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자산인 채권의 성질도 가지며,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지만 손실 가능성이 큰 주식의 성질도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메자닌의 종류 1. 전환사채 2. 신주..
-
<하루 한 개념> 유상증자 그게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7. 21:32
들어가며 지난 시간에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 관한 포스팅을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중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그전에 지난 포스팅을 아직 보지 못하신 분들은 확인하세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돈이 있어야 연구 및 개발도 하고, 공장도 짓고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죠. 빚이 많다면 빚을 sky-entertain.tistory.com 증자 1. 유상증자 2. 무상증자 증자에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돈을 받고 주식을 주는 유상증자, 돈을 받지 않고 무상으로 주식을 나눠주는 무상증자입니다. 유상증자는 주식시장에서 바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부채..
-
<하루 한 개념>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투자 공부 2021. 12. 26. 17:50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돈이 있어야 연구 및 개발도 하고, 공장도 짓고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죠. 빚이 많다면 빚을 갚기 위한 용도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 은행에서 차입 2. 채권 발행 3. 유상증자 4. 메자닌이 5. 기업공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1번과 2번은 돈을 빌리는 것이라서 부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식시장 내에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하는데 이를 '유상증자'라고 합니다. 3.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고 발행된 주식을 투자자들에게 돈을 받고 주는 것입니다. 주식수가 늘어나 주식가치가 하락하는 단점이 있지만 기업..
-
<하루 한 개념> 옵션거래(Option) 그게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6. 14:29
다들 즐거운 크리스마스 보내셨나요~? 저는 아무 약속도 없이 방에 박혀 하루 종일 드라마만 봤네요 ㅎㅎ... 'The K2'라는 지창욱, 송윤아, 임윤아 등의 배우분들이 등장하는 드라마인데 이건 나중에 기회 되면 '드라마 감상'에 한 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부모님이 동생은 밖에 친구들이랑 놀러 갔는데 저한테 약속 없냐고 물어보시더라고요. 그저 웃음으로만 대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눈물) 사실 너무 추워서 나가기도 싫고, 그냥 따뜻한 방에 누워 있고 싶었다는 핑계를 대봅니다... 잡답은 여기까지 하고 오늘은 '옵션'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옵션 옵션은 선물과 마찬가지로 미래의 특정 시점과 특정 가격에 매수 혹은 매도한다는 점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선물'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 '약속'입니다. 반면에 옵션..
-
<하루 한 개념> 선물(Futures)이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4. 19:10
선물 거래란? 오늘 알아볼 내용은 '선물(futuures)'입니다. 선물은 어떤 상품이나 금융 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의 어느 시점에 매수, 매도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A가 B에게 2개월 후 C라는 물건을 개당 1,000원에 사기로 계약 제안을 합니다. (C의 현재가는 500원이라고 가정) B의 입장에서는 2개월 후 가격이 1,000원에 못 미칠 것이라 판단해 수락하죠. 2개월 후 물건 C의 값이 1,000원 이상이라면 A가 이득인 것이고, 1,000원 밑이라면 B가 이득인 것이죠. 주식 시장에서도 선물거래가 가능합니다.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생각하면 매수하면 되고,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면 매도하면 됩니다. 주식, 코인 등 다양한 자산의 선물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
돈 공부는 처음이라 - Part1 정리투자 공부 2021. 12. 22. 20:47
제 돈으로 산 첫 '돈'관련 서적인 '돈 공부는 처음이라'. 여름에 한 번 읽었는데, 다시 공부할 겸 이번에는 part별로 정리해볼까 합니다. PART 1 : 삶은 결국 돈의 한 조각이다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다는 거짓말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잖아요? p23~ p29 돈 = 인생일까? 돈이 곧 행복일까? 위 같은 질문을 다들 한 번쯤은 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자주 생각해왔던 질문이었죠. 물질적으로 풍요롭지 않아도 마음이 풍요로우면 충분하다. 식의 이야기를 책과 강연을 통해 들어왔던 터라 학생일 때는 돈이 없어도 행복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자연인으로 살 생각이 아닌, 사회 속에서 살고 행복하기 위해선 '돈'은 필수적인 요소임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상하게 우리는 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