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돈 공부는 처음이라 - Part1 정리투자 공부 2021. 12. 22. 20:47
제 돈으로 산 첫 '돈'관련 서적인 '돈 공부는 처음이라'.
여름에 한 번 읽었는데, 다시 공부할 겸 이번에는 part별로 정리해볼까 합니다.
PART 1 : 삶은 결국 돈의 한 조각이다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다는 거짓말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잖아요?
p23~ p29돈 = 인생일까?
돈이 곧 행복일까?
위 같은 질문을 다들 한 번쯤은 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자주 생각해왔던 질문이었죠.
물질적으로 풍요롭지 않아도 마음이 풍요로우면 충분하다. 식의 이야기를 책과 강연을 통해 들어왔던 터라 학생일 때는 돈이 없어도 행복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자연인으로 살 생각이 아닌, 사회 속에서 살고 행복하기 위해선 '돈'은 필수적인 요소임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상하게 우리는 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어른들 앞이나, 학창시절 학교에서 '돈'에 관한 이야기를 잘 들어보지도 못했을뿐더러 누군가 가르쳐 주지도 않고, 이야기를 꺼내면 긍정적인 반응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린데 벌써 돈 밝히냐", "돈 말고 다른 좋은 것에 관심을 갖는 것이 어떻냐"라고 말이죠.
(제 경우 그랬다는 이야기 입니다. 아닌 분들도 있을 테니 그러려니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렸을 때는 돈보다 중요한 것이 많으니까 열심히 친구들과 놀고, 학업에만 충실하면 된다는 식으로 자라왔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돈'에 관한 지식은 전무한 채 성인이 되고 말죠. 저 또한 '돈'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하나도 없구나 싶어 공부하고 있는데 어렸을 때부터 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p24 ~ p26
세상이 말했던 '작은 행복과 작은 만족'은
그것만 가질 수 있는 사람이 아니라,
그것도 가질 수 있는 여유에서 나온다.
예쁜 꽃을 보고 아름답다고 느끼는 사람은
예쁜 꽃을 바라볼 만큼의 시간적 여유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었다.
작은 것에 만족하며 사는 사람들은
이미 큰 것도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SNS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집 안에 들어오는 햇살을 받으며 커피와 차를 마시고
'행복을 느끼는 사람들'은
대부분 좋은 집이 있으며,
지금 당장 돈을 벌기 위해서
출근을 서두를 필요가 없는 사람들이었고,
'나를 위한 작은 일탈을 떠나는 사람들'은
일탈이 끝난 뒤에도 경제적 여유를 줄
든든한 직장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결국 작은 행복이란
돈을 충분히 벌어놓은 사람이거나
계속해서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이 누리는 가장 큰 사치였다.
물론 간혹 경제적 여유와 상관없이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그들은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사람은 소수가 되기엔 평범하다.
결국 작가님이 하고 싶은 말은 '인생에서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돈을 떼어 놓고는 인생을 설명할 수 없다.'였습니다. 그리고 돈을 떼어놓고 행복을 확신할 수 없는 모습이 결코 속물적이거나, 미성숙한 것은 아니라는 말을 하며 마무리됩니다.
행복 앞에 늘 붙는 한마디, '돈만 많으면'
p30~ p34부모님에게 좋은 식사를 대접하는 것.
좋은 곳으로 여행을 가는 것.
내 꿈을 이루기 위해 무언가를 배우는 것.
내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해주는 것.
이 모든 것은 결국 돈입니다.
돈을 삶과 떼어 놓고 이야기할 수는 없습니다. 돈을 모른다는 것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당산의 삶을 모른다는 말과 같습니다.
익숙했기 때문에, 몰랐다는 사실조차 모르게 되다
p35~ p42이처럼 돈과 삶이 연결되어 있는데 왜 우리는 '돈'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지 않을까요?
책에서는 돈과 우리가 '익숙하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한국어는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하지만 다른 누군가에게 설명하라고 한다면 문법 하나 제대로 설명하기 힘든 것을 예로 들어줍니다.
"무언가에 익숙하다면 그것을 의식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고
무언가를 잘 안다면 그것을 누군가에게 설명할 수 있다."라고 말합니다.
돈을 알면 돈에 현혹되지 않고,
돈을 알면 돈의 목적을 깨달으며
돈을 알면 오직 자신을 위해 일해야 함을 알게 된다고 합니다.
자산 상황에 따라 해야 하는 일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돈을 아는 것이라고 말하며 Part 1이 마무리됩니다.
최근에 '돈', '투자'에 관한 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이는 돈에 관한 사회의 시선이 바뀌었음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평생직장에서 번 돈으로는 집 한 채도 사지 못하는 현실.
돈과 투자에 관한 공부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세상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한 개념> 옵션거래(Option) 그게 뭐야? (0) 2021.12.26 <하루 한 개념> 선물(Futures)이 뭐야? (0) 2021.12.24 <하루 한 개념> 버핏 지수가 뭐야? (0) 2021.12.22 <하루 한 개념> OEM, ODM이 뭐야? (0) 2021.12.21 <하루 한 개념> ETF가 뭐야? (0) 202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