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공부
-
<하루 한 개념> 버핏 지수가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2. 15:41
버핏 지수 버핏 지수란 국내총생산(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을 뜻합니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2001년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과의 인터뷰에서 이것을 '적정한 주가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최고의 단일 척도'라고 평가하면서 버핏 지수라고 부르게 됐습니다. ◆버핏 지수가 100% 라면 GDP와 시가총액이 같다는 의미로, 한 나라의 경제와 주식시장의 크기가 같다는 의미입니다. ◆버핏 지수가 70% 라면 GDP 대비 시가총액이 70% 수준이라는 것으로, 주식시장이 그 나라의 경제에 비해 30% 이상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 말인즉슨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버핏 지수가 70∼90% 수준이면 저평가된 증시로 판단해 주식을 사들이는 경우가 많다..
-
<하루 한 개념> OEM, ODM이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1. 19:46
OEM OEM =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의 약자로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이라고 합니다. 어떤 기업이 다른 OEM업체에 어떤 제품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면 OEM 업체는 기업에서 요청한 대로 상품을 만들고 납품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기업 제품이라도 중국 업체에서 만들었으면, made in China가 붙게 됩니다. 대표적인 OEM 기업으로는 대만의 폭스콘입니다. 애플이 아이폰을 설계하고 생산을 위탁하면, 폭스콘에서 아이폰을 만들어 주고 다시 애플에 납품을 합니다. ODM ODM = 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의 약자로 '제조자 개발 생산'이라고 합니다. 주문한 대로 똑같이 만들어주기만하는 OEM업체와는 달리, ODM은 주문자의 요구에..
-
<하루 한 개념> ETF가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0. 20:36
ETF란? ETF란 Exchange Traded Fund의 줄임말로 상장지수펀드라고도 불립니다. 펀드를 마치 주식처럼 시장에서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상품입니다. 개인 투자자가 수십 ~ 수백의 종목에 투자하기는 어렵지만 ETF는 간접적인 분산투자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 개별 종목을 고르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른 각 기업에 관해 세세한 공부를 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개별종목이 아닌, 지수를 따르기 때문에 등락폭이 훨씬 더 적은 편입니다.(안정적이죠 ) 나는 시장 평균 수익률도 못올린다. - 수익률이다 이런분들에게는 ETF도 고려해볼만한 것이죠.(저도 개별 종목말고 차라리 ETF에 투자했었더라면...이래서 투자는 공부하고 해야하는데...) ETF 세금 현재 국내주식 매도 시에는 0.25%의 거..
-
<하루 한 개념> DE-FI(디파이)가 뭐야?투자 공부 2021. 12. 19. 18:16
DE-FI 정의 탈 중앙화를 뜻하는 ‘decentralize’와 금융을 의미하는 ‘finance’의 합성어 탈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일컫는 말로, 정부나 기업 등 중앙기관의 통제 없이 인터넷 연결만 가능하면 블록체인 기술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코인을 담보로 잡고 대출을 내주거나, 코인을 예치하면 파격적 이자를 준다. 간단히 말해서 코인을 예치하면, 유동성을 공급한 대가로 코인을 이자로 주는 것입니다. DE-FI 종류 위에 사진에 나와있는 것 말고도 수많은 디파이 코인들이 존재합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검색하시면 나오니 찾아보시면 됩니다. DE-FI를 통해 수익 얻기 디파이 코인을 통해 수익을 얻는 방법은 ① 시세 차익을 통한 매매 이건 그냥 다른 코인들과 마찬가지로 싸게 사서..
-
<하루 한 개념 투자 공부> IPO(기업공개)가 뭐야?투자 공부 2021. 12. 18. 18:09
IPO = Initial Public Offering이라고 해서 기업 공개를 뜻합니다.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이 증권시장에서 거래되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과정이죠. IPO, 왜 하는 거야? 이유는 명확합니다.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투자를 해야 합니다. 투자를 위해서는 '돈'이 필요한데 이 자금을 조달하기 가장 유리한 것이 시장에서 조달하는 것이죠. 그 외에 기업의 모든 정보가 공개되기 때문에 신뢰도 ↑ 홍보효과 ↑ 장점도 있습니다. IPO의 순서 오늘은 IPO(기업공개)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
<하루 한 개념 투자 공부> 시가 총액이란?투자 공부 2021. 12. 17. 16:50
코로나 이후 주식, 부동산, 코인 등 많은 투자 시장에 불이 붙은 지 거의 2년이 되어 가네요. 아무것도 모르고 저도 시작했지만 결국... 허튼짓만 하면서... 이참에 블로그도 운영할 겸 조금씩 다시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라는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에 검색하면 더 쉽고 더 자세히 나오겠지만 주목적은 제가 공부하기 위함이니 그 점 감안하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 공부할 것은 "시가 총액" 입니다. 시가 총액 : '증권 거래소에서 상장된 증권 모두를 그날의 종가로 평가한 금액. 각 상장 종목의 상장 주식 수에 각각의 종가를 곱한 후 이를 합계하여 산출한다.'라고 사전에 정의되어있습니다. 즉, 기업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죠. 시가 총액 = 현재가 * 상장 주식수 우리나라에서 가장 시가 총액이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