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하루 한 개념> 주가에 긍정적인 요소(무상증자, 기업의 투자 )투자 공부 2021. 12. 30. 14:40
오늘은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무상증자와 기업의 투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무상증자 유상증자는 자금이 부족한 기업에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주식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보통 현재 거래되고 있는 주가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새로 발행하기 때문에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낮은 가격으로 주식 공급량이 늘어나기 때문이죠. 무상증자도 주식수가 늘어나는 면에서는 비슷할 수도 있지만, 무상증자는 유상증자와는 다르게 공짜로 주식을 나눠주는 것입니다. 공짜로 주식을 준다고 해서 내가 투자한 금액이 2배로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내가 100주를 갖고 있다면 100% 무상 증자 시 200주로 늘어나고 주가는 반대로 50% 가격이 내리게 되죠. 그럼 결국 기업가치에도 변화가 없는데 무슨 ..
-
<돈 공부는 처음이라> Part 2 정리투자 공부 2021. 12. 29. 16:17
지난번 포스팅한 Part 1 정리에 이은 Part 2 정리 포스팅입니다. Part 1을 보지 못하신 분들은 Part 1도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돈 공부는 처음이라 - Part1 정리 제 돈으로 산 첫 '돈'관련 서적인 '돈 공부는 처음이라'. 여름에 한 번 읽었는데, 다시 공부할 겸 이번에는 part별로 정리해볼까 합니다. PART 1 : 삶은 결국 돈의 한 조각이다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sky-entertain.tistory.com Part2 돈의 실체를 마주하다. 알면 알수록 불편해지는 돈 이야기 ● 남의 돈에 자신의 삶을 버리지 마라 ● 30년간 저축해도 집 한 채 못 가지는 현실 ● 한강의 기적은 더 이상 우리 이야기가 아니다 ● '욜로'는 현재밖에 즐길 수 없는 현실의 자화상이다 남의 돈에..
-
<하루 한 개념> 메자닌 그게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9. 12:26
안녕하세요! 어제 하루 약 먹고 푹 쉬었더니 멀쩡해져 돌아왔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은 "메자닌"입니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포스팅에서 잠깐 언급했었죠.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돈이 있어야 연구 및 개발도 하고, 공장도 짓고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죠. 빚이 많다면 빚을 sky-entertain.tistory.com 메자닌 메자닌은 주식과 채권의 특성을 모두 가진 투자를 이야기합니다. 즉 원금과 확정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자산인 채권의 성질도 가지며,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지만 손실 가능성이 큰 주식의 성질도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메자닌의 종류 1. 전환사채 2. 신주..
-
코로나 3차(부스터샷)예방 접종 후 약 하루 경과이것저것 2021. 12. 28. 12:14
바라는 데로 되지 않는... 내 몸 안녕하세요! 3시간 뒤면 어제 코로나 3차(부스터샷) 접종 후 약 하루가 됩니다. 어제저녁과 아침에 일어났을 때는 큰 문제가 없는 것 같았지만! 몸에서 살짝 몸살 기운이 도네요. 덤으로 근육통까지... 1~2차 때는 괜찮아서 이번에도 문제없길 바랐는데 뜻대로 되지 않는군요 ㅠㅠ 이불을 걸친 채 투자공부 포스팅 하나 쓸까말까 고민하다가 오늘은 그냥 푹 쉬어야겠다고 판단했습니다. 백신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오늘 하루 푹 쉬고 돌아오겠습니다. (한숨자고 괜찮아 면 올릴 수도 있어요! )
-
<하루 한 개념> 유상증자 그게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7. 21:32
들어가며 지난 시간에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 관한 포스팅을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중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그전에 지난 포스팅을 아직 보지 못하신 분들은 확인하세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돈이 있어야 연구 및 개발도 하고, 공장도 짓고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죠. 빚이 많다면 빚을 sky-entertain.tistory.com 증자 1. 유상증자 2. 무상증자 증자에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돈을 받고 주식을 주는 유상증자, 돈을 받지 않고 무상으로 주식을 나눠주는 무상증자입니다. 유상증자는 주식시장에서 바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부채..
-
코로나 3차(부스터) 접종 완료 + 신청방법이것저것 2021. 12. 27. 18:31
오늘 3차(부스터) 접종을 하고 왔습니다. 원래 이렇게 빨리 맞을 생각은 없었지만부모님이 같이 맞자고 하셔서 함께 접종하고 왔네요... 예약하는 방법은 "코로나 예방접종 예약" 검색하시면 됩니다.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본인 인증 수단이 여러 개 나오는데 원하시는 걸로 인증하시면 됩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본인 신청과 대리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저도 제 이름으로 부모님 몫까지 예약했어요. 대리인 신청하실 때 단점은한 번 인증 완료하고 예약하고 나면 10분간 기다렸다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화이자로 맞고 왔습니다. 1~2차 맞고 별 문제없었는데 이번 3차(부스터)접종도 별 탈 없었으면 좋겠네요. 코로나가 언제쯤 잠잠해질지... 걱정이네요 힘든 시기지만 다 같이 힘내셨으면 좋겠습니다.
-
<앱테크> 어니언(Earnion) 포인트 출금하기이것저것 2021. 12. 27. 17:35
오늘도 엄청 추운 날씨네요. 다들 몸 관리 잘하시길 바랄게요! 제가 지난번에 선착순 5000원 공짜로 받는 앱테크 에 대해 소개했었죠~? 아직 못 보신 분들은 확인! https://sky-entertain.tistory.com/47 어니언(Earnion)으로 공짜 5000원 받자! 선착순 선착순 5000원? 오늘은 앱테크 앱 하나 포스팅하겠습니다. 지금 어니언(Earnion)이라는 앱에서 친구 링크로 가입 시 5000원 증정 이벤트를 하고 있어요! 플레이 스토어에 '어니언'을 검색하시면 아래 sky-entertain.tistory.com 이번 포스팅은 지난번 받은 포인트를 제 한국투자 증권 계좌로 옮기는 과정입니다. 1. 어플 접속하기 우선 어플에 접속 후 '마이페이지' 클릭 '출금'버튼을 눌러주세요. ..
-
<하루 한 개념>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투자 공부 2021. 12. 26. 17:50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돈이 있어야 연구 및 개발도 하고, 공장도 짓고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죠. 빚이 많다면 빚을 갚기 위한 용도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 은행에서 차입 2. 채권 발행 3. 유상증자 4. 메자닌이 5. 기업공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1번과 2번은 돈을 빌리는 것이라서 부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식시장 내에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하는데 이를 '유상증자'라고 합니다. 3.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고 발행된 주식을 투자자들에게 돈을 받고 주는 것입니다. 주식수가 늘어나 주식가치가 하락하는 단점이 있지만 기업..
-
<하루 한 개념> 옵션거래(Option) 그게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6. 14:29
다들 즐거운 크리스마스 보내셨나요~? 저는 아무 약속도 없이 방에 박혀 하루 종일 드라마만 봤네요 ㅎㅎ... 'The K2'라는 지창욱, 송윤아, 임윤아 등의 배우분들이 등장하는 드라마인데 이건 나중에 기회 되면 '드라마 감상'에 한 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부모님이 동생은 밖에 친구들이랑 놀러 갔는데 저한테 약속 없냐고 물어보시더라고요. 그저 웃음으로만 대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눈물) 사실 너무 추워서 나가기도 싫고, 그냥 따뜻한 방에 누워 있고 싶었다는 핑계를 대봅니다... 잡답은 여기까지 하고 오늘은 '옵션'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옵션 옵션은 선물과 마찬가지로 미래의 특정 시점과 특정 가격에 매수 혹은 매도한다는 점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선물'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 '약속'입니다. 반면에 옵션..
-
<하루 한 개념> 선물(Futures)이 뭐야?투자 공부 2021. 12. 24. 19:10
선물 거래란? 오늘 알아볼 내용은 '선물(futuures)'입니다. 선물은 어떤 상품이나 금융 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의 어느 시점에 매수, 매도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A가 B에게 2개월 후 C라는 물건을 개당 1,000원에 사기로 계약 제안을 합니다. (C의 현재가는 500원이라고 가정) B의 입장에서는 2개월 후 가격이 1,000원에 못 미칠 것이라 판단해 수락하죠. 2개월 후 물건 C의 값이 1,000원 이상이라면 A가 이득인 것이고, 1,000원 밑이라면 B가 이득인 것이죠. 주식 시장에서도 선물거래가 가능합니다.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생각하면 매수하면 되고,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면 매도하면 됩니다. 주식, 코인 등 다양한 자산의 선물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