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돈 공부/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92

📘 81편 : 환율과 금리의 관계 -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 환율은 왜 출렁일까?” 🧠 지금까지 연결[78편] 금리와 경제활동의 관계[79편] 환율이란 무엇일까?[80편] 환율과 수출입의 관계→ 이번 편에서는 환율과 금리가 어떤 관계를 맺고 움직이는지를 파악해보자.특히 미국 금리 인상이 왜 전 세계 환율에 영향을 주는지를 중심으로!1️⃣ 금리가 오르면 돈은 금리가 높은 나라로 간다💵 투자자 입장: 더 높은 이자를 주는 나라에 투자하고 싶음→ 한국 금리 3%, 미국 금리 5%면? 미국으로 자금 유입!📉 그 결과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는 흐름👉 원화 약세, 환율 상승2️⃣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전 세계 환율이 출렁이는 이유🌎 달러는 기축통화 → 전 세계 자금이 달러 자산으로 쏠림한국, 일본, 신흥국 자금 빠져나감 → 통화 약세특히 달러 부채가 많은 나라들은 큰 압박3️⃣ 반대로, 우.. 2025. 7. 1.
📘 80편 : 환율과 수출입의 관계 - “환율이 오르면 우리나라 기업엔 좋은 걸까, 나쁜 걸까?” 🧠 지금까지 연결[61편] 화폐는 어떻게 생겨났을까?[62편] 금본위제, 그리고 달러의 패권[78편] 금리와 경제활동의 관계[79편] 환율이란 무엇일까?→ 이번 편에서는 '환율 변화'가 우리나라 수출입 기업과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자.1️⃣ 환율 상승 = 원화 약세 (1달러에 1,200원 → 1,400원)📦 수출기업에게 유리같은 달러 가격으로 팔아도 원화 수익이 더 많아져예: 1달러에 수출한 제품 → 환율 1,200원일 땐 1,200원, 1,400원이면 1,400원 수익🛬 수입기업에게 불리외화를 주고 수입해야 하는데, 더 많은 원화를 지불해야 해특히 원자재, 에너지 등을 수입하는 기업 타격2️⃣ 환율 하락 = 원화 강세 (1달러에 1,400원 → 1,200원)📦 수출기업에.. 2025. 6. 30.
📘 79편 : 환율이란 무엇일까? - “1달러에 1,360원… 이 숫자는 왜 중요한 걸까?” 🧠 지금까지 연결[61편] 화폐는 어떻게 생겨났을까?[62편] 금본위제, 그리고 달러의 패권[78편] 금리와 경제활동의 관계→ 이번 편에선 ‘환율’이라는 개념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중요한지 기초부터 살펴보자!1️⃣ 환율이란?💱 한 나라의 돈을 다른 나라 돈과 바꾸는 비율예: 1달러 = 1,300원 → 1달러를 사려면 1,300원이 필요하단 뜻!2️⃣ 고정환율 vs 변동환율📌 고정환율제: 정부가 환율을 일정하게 유지 (예: 과거 달러-금 고정)📌 변동환율제: 시장에서 수요·공급에 따라 환율이 변동 (지금 대부분의 국가)3️⃣ 환율이 변하면 어떤 일이?📈 환율 상승 (원화 가치 하락) → 수출 유리, 수입 불리📉 환율 하락 (원화 가치 상승) → 수입 유리, 수출 불리→ 수출기업, 여행객, 유학.. 2025. 6. 29.
📘 78편 : 금리와 경제활동의 관계 - “금리가 바뀌면 우리 경제 속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 지금까지 연결[72편] 금리란 무엇인가?[73편] 명목금리 vs 실질금리[76편] 금리는 어떻게 결정될까?[77편] 금리와 자산시장→ 이번 편에서는 금리가 경제 전반(소비, 투자, 물가 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다뤄볼게!1️⃣ 금리가 올라가면?📉 대출이 줄어들어 소비와 투자가 감소해가계: 이자 부담 커짐 → 소비 지출 ↓기업: 자금 조달 비용 ↑ → 설비투자 ↓→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어2️⃣ 금리가 내려가면?📈 돈 빌리기가 쉬워져서 소비와 투자가 증가해가계: 대출 이자 ↓ → 자동차, 집 구매 ↑기업: 설비·연구 투자 ↑→ 경기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어3️⃣ 금리와 물가의 관계💡 금리 인상 → 물가 상승 억제💡 금리 인하 → 물가 상승 자극→ 중앙은행은 이걸 활용해 인플레이션 조절에.. 2025. 6. 28.
📘 77편 : 금리와 자산시장 - “금리가 바뀌면 왜 자산시장 전체가 요동칠까?” 🔗 지금까지 연결[📘 57편]에서 금리와 주식시장 관계를 살펴봤어.[📘 72~76편]에서는 금리와 통화정책, 인플레이션, 통화량, 경기조절까지 연결했지.→ 이제 이 모든 개념을 바탕으로,금리가 자산시장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 번에 정리해보자!1️⃣ 금리 = 자산시장의 기준점금리는 돈의 '가격'이야.이 '가격'이 오르내리면 사람들의 선택이 달라져.💡 즉, 자산시장 전반의 흐름이 바뀌는 거야.2️⃣ 금리 인상기에는 어떤 일이?✅ 채권시장금리가 오르면 신규 발행 채권 수익률 ↑기존 채권의 가치 ↓→ 채권 가격 하락✅ 주식시장기업 대출 비용 증가 → 이익 ↓소비자도 대출 부담 증가 → 소비 ↓→ 기업 실적 악화 우려 → 주가 하락 압력✅ 부동산시장대출이자 ↑ → 실수요자 부담 증가레버리지 투자.. 2025. 6. 27.
📘 76편 : 금리는 어떻게 결정될까? - “중앙은행이 마음대로 정하는 걸까?” 🔗 지금까지 연결[68편] 중앙은행의 역할[71편] 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72편] 금리란 무엇인가[74편] 통화량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금리가 통화량, 경기, 인플레이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봤지.이제 그 금리 자체는 어떻게 정해지는가를 살펴볼 차례야.1️⃣ 기준금리란?금리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가장 핵심은 ‘기준금리’**야.✅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 이게 모든 시중 금리의 기준이 돼.예: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5%로 결정→ 시중은행들도 대출금리, 예금금리 등을 3.5%를 중심으로 정해2️⃣ 금리는 누가 결정할까?✅ 중앙은행이 결정함(한국: 한국은행 / 미국: 연준 Fed)→ 정확히는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 같은 회의에서→ ‘물가’, ‘경기’,.. 2025. 6. 26.
📘 75편 : 적정 인플레이션율이란? - “물가가 안 오르는 게 좋은 게 아니라고?” 🧠 지금까지 연결[68편] 중앙은행: 경제의 조율자[70편] 통화정책: 금리 조정으로 경기와 물가 관리[71~72편] 돈의 공급과 금리의 역할[74편]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부작용→ 이번 편에서는 “그럼 물가는 얼만큼 오르는 게 이상적인가?”에 대한 답을 알아보자.1️⃣ 인플레이션은 왜 0%면 안 될까?물가가 오르면 소비자 입장에서 부담이지만,아예 안 오르거나 떨어지면 더 큰 문제가 생겨✅ 디플레이션 위험→ 소비·투자 위축 → 경기 침체→ 기업 수익↓ → 고용↓ → 소득↓ → 소비↓ (악순환)그래서 물가가 조금은 오르는 게 건강한 경제2️⃣ 그래서 나온 기준: 2% 인플레이션 목표대부분의 중앙은행은👉 연 2%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삼아예:미국 연준 (Fed)유럽중앙은행 (ECB)한국은행도 물가상승률.. 2025. 6. 25.
📘 74편 :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 “물가가 오르면 왜 문제가 될까?” 🧠 지금까지 연결[68편] 중앙은행은 어떤 일을 할까? → 경기 조절 & 물가 안정[70편] 통화정책이란? → 기준금리 조정 통해 인플레이션 관리[71편] 중앙은행은 돈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 시중에 유동성 공급[72편] 금리란 무엇인가? → 금리 조정으로 경제에 브레이크 or 엑셀이 편(74편)은 그 결과로 나타나는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 현상을 정리해줘1️⃣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는 현상예:오늘 1,000원이던 커피가,1년 뒤엔 1,200원으로 오른다면 → 인플레이션 20%✅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줄어듦2️⃣ 인플레이션이 왜 문제일까?실질소득 감소 →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는 오름저축 가치 하락 → 지금 1억 저축 = 미래엔 1억의 가치 X불.. 2025. 6. 24.
📘 73편 :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란 무엇인가? - “금리 5%라고 다 같은 5%일까?” 🧠 지금까지 연결 (금리 관련 핵심편)✅ [13편] 금리는 돈의 시간 가치✅ [14편] 기준금리란 무엇인가✅ [18편] 금리와 채권의 관계✅ [20편] 금리와 환율의 관계✅ [36편] 금리와 자산 가격✅ [68편] 중앙은행의 역할✅ [71편] 중앙은행은 돈을 어떻게 만드는가✅ [72편] 금리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73편] 명목금리 vs 실질금리1️⃣ 금리에도 '이름값'과 '실제값'이 있다?우리가 흔히 듣는 금리 (예: 5%)는👉 명목금리야.그런데 여기엔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이 반영되어 있지 않아.그래서 ‘실질적으로’ 얼마나 이득인지 알려면👉 실질금리를 봐야 해.2️⃣ 명목금리 vs 실질금리구분뜻예시구분뜻예명목금리표면상 금리 (물가 미반영)예금금리 5%실질금리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제 수익.. 2025. 6.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