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공부/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 [경제·투자 기초 시리즈] 1편 ~ 69편 전체 정리

by RICH ROOT 2025. 6. 19.

안녕하세요. RICH ROOT입니다. 

이번 시간은 1편 ~ 69편까지 총정리할 겸 주제와 핵심내용을 빠르게 훑어보는 시간입니다.

 

포스팅을 읽으시면서도 눈치채셨겠지만 반복되는 내용을 일부러 많이 넣었습니다.

"어 이거 한 번 봤던 것 같은데?"라고 느끼셨다면 포스팅을 정말 잘 읽고 계신 거니 뿌듯해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사실 반복만큼 중요한 건 없다고 생각해서 일부러 이렇게 만들고 있습니다.

처음 용어를 보고 다음에는 조금 더 살을 붙이고, 그 다음번엔 더 붙이는 식으로 말이죠.

 

자, 그럼 1편부터 빠르게 훑어가며 리마인드 하는 시간을 가져보시죠~!!


🔹 1~9편: 돈이란 무엇인가?

주제 핵심 내용
1 돈이란? 돈 = 교환의 매개체, 신뢰 기반
2 돈의 진화 조개 → 금 → 지폐 → 디지털
3 왜 돈을 벌까? 생존 + 선택의 자유
4 부자가 되려면 소득 - 소비 + 자산운용
5 자산이란? 가치 있는 경제적 자원
6 부채란? 미래의 소비를 당겨씀
7 좋은 vs 나쁜 부채 생산성 여부로 구분
8 현금흐름 vs 자본이득 돈이 들어오는 방식
9 투자란? 위험을 감수한 미래 기대 수익
 

🔹 10~19편: 자산과 투자 기초

주제 핵심 내용
10 예금·적금 원금 보장, 낮은 수익률
11 주식이란? 기업 소유의 조각을 사는 것
12 채권이란?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증서
13 펀드란? 전문가가 운용, 분산투자
14 ETF란? 펀드 + 주식의 장점 결합
15 부동산이란? 실물자산, 고정 수익 가능
16 금이란? 인플레이션·위기 대응 자산
17 자산배분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18 리스크란? 불확실성, 손실 가능성
19 수익률 계산 투자 성과를 숫자로 표현
 

🔹 20~29편: 투자 원칙과 금융시장

주제 핵심 내용
20 복리의 힘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수익
21 장기투자 복리의 진가를 보려면 시간 필요
22 시간 vs 타이밍 시장 예측보다 시간에 투자
23 시장이란? 자산이 거래되는 모든 장소
24 주식시장 구조 기업 ↔ 투자자 ↔ 거래소
25 채권시장 구조 빚의 거래소
26 외환시장 통화 간의 가치 교환 시장
27 금리란? 돈의 가격
28 인플레이션 돈의 가치 하락, 물가 상승
29 디플레이션 반대 현상, 위험 요소 많음
 

🔹 30~39편: 리스크, 안전자산, 금리

주제 핵심 내용
30 투자 리스크 종류 시장, 신용, 유동성 등 다양
31 복리의 함정 수익률도 리스크에 영향 받음
32 인플레와 실질수익 물가 고려한 실제 수익
33 실질금리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34 명목 vs 실질수익 헷갈리기 쉬운 개념 구분
35 안전자산이란? 위기 상황에서도 신뢰 받는 자산
36 금은 왜 안전자산일까? 역사적 신뢰, 희소성
37 달러가 안전자산인 이유 기축통화, 신뢰와 유동성
38 채권도 안전자산일까? 국가/기업 신용 따라 달라짐
39 안전자산의 역할 위기 시 자산 보호 수단
 

🔹 40~49편: 금리와 시장의 흐름

주제 핵심 내용
40 중앙은행이란? 통화정책, 경제 조율 기관
41 기준금리란? 시중금리의 기준
42 금리는 왜 오르내릴까? 인플레, 경기 대응
43 금리 인상 영향 대출·투자 ↓, 자산가치 ↓
44 금리 인하 영향 소비·투자 ↑, 자산가치 ↑
45 인플레 잡는 금리 정책 금리↑ = 수요↓ = 물가↓
46 금리와 경기 관계 금리 = 경기의 온도 조절기
47 금리와 기업 자금 조달·이익에 영향
48 금리와 가계 대출·소비에 직접 영향
49 금리와 투자전략 환경 따라 전략 변화 필요
 

🔹 50~59편: 시장과 경제의 연결

주제 핵심 내용
50 통화정책 vs 재정정책 중앙은행 vs 정부
51 통화량이란? 시중에 풀린 돈의 양
52 유동성이란? 돈의 흐름, 거래 가능성
53 유동성과 자산시장 돈 많으면 자산가격 ↑
54 금리 vs 유동성 금리↓ = 유동성↑ (보통)
55 물가 지표 CPI, PPI 등 인플레 판단 지표
56 인플레와 자산가격 완만한 인플레 = 긍정적
57 경기 사이클 확장→정점→수축→저점 반복
58 사이클과 투자 시점 따라 전략 달라야 함
59 금리 변화의 순서 시장→채권→금리→실물경기
 

🔹 60~69편: 투자 수익의 구조 & 금리 영향

주제 핵심 내용
60 투자수익 구조 현금흐름 vs 자본이득
61 배당이란? 현금흐름의 대표적 예
62 자본이득이란? 싸게 사서 비싸게 팔기
63 경제성장이란? 국민이 더 많은 가치 창출
64 성장의 원동력 생산성, 기술, 인구
65 인플레와 성장 적당한 인플레는 성장 신호
66 중앙은행의 역할 금리 조절로 경제 관리
67 금리와 성장 성장 초기엔 저금리 유지
68 중앙은행 = 보이지 않는 손 통화량·금리로 조율
69 금리 변화와 자산시장 자산별로 반응 다름

🔚 앞으로의 내용 예고

  • 70편: 양적완화와 양적긴축이란?
  • 71편: 중앙은행은 돈을 어떻게 찍어내는가?
  • 72편: 금리가 0%일 때 생기는 일
  • 73편: 왜 금리만으로는 한계가 있을까?
  • 74편 이후: 실전 투자 전략에 필요한 ‘매크로 분석법’, '시장 심리'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