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RICH ROOT입니다.
이번 시간은 1편 ~ 69편까지 총정리할 겸 주제와 핵심내용을 빠르게 훑어보는 시간입니다.
포스팅을 읽으시면서도 눈치채셨겠지만 반복되는 내용을 일부러 많이 넣었습니다.
"어 이거 한 번 봤던 것 같은데?"라고 느끼셨다면 포스팅을 정말 잘 읽고 계신 거니 뿌듯해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사실 반복만큼 중요한 건 없다고 생각해서 일부러 이렇게 만들고 있습니다.
처음 용어를 보고 다음에는 조금 더 살을 붙이고, 그 다음번엔 더 붙이는 식으로 말이죠.
자, 그럼 1편부터 빠르게 훑어가며 리마인드 하는 시간을 가져보시죠~!!
🔹 1~9편: 돈이란 무엇인가?
편 | 주제 | 핵심 내용 |
1 | 돈이란? | 돈 = 교환의 매개체, 신뢰 기반 |
2 | 돈의 진화 | 조개 → 금 → 지폐 → 디지털 |
3 | 왜 돈을 벌까? | 생존 + 선택의 자유 |
4 | 부자가 되려면 | 소득 - 소비 + 자산운용 |
5 | 자산이란? | 가치 있는 경제적 자원 |
6 | 부채란? | 미래의 소비를 당겨씀 |
7 | 좋은 vs 나쁜 부채 | 생산성 여부로 구분 |
8 | 현금흐름 vs 자본이득 | 돈이 들어오는 방식 |
9 | 투자란? | 위험을 감수한 미래 기대 수익 |
🔹 10~19편: 자산과 투자 기초
편 | 주제 | 핵심 내용 |
10 | 예금·적금 | 원금 보장, 낮은 수익률 |
11 | 주식이란? | 기업 소유의 조각을 사는 것 |
12 | 채권이란? |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증서 |
13 | 펀드란? | 전문가가 운용, 분산투자 |
14 | ETF란? | 펀드 + 주식의 장점 결합 |
15 | 부동산이란? | 실물자산, 고정 수익 가능 |
16 | 금이란? | 인플레이션·위기 대응 자산 |
17 | 자산배분 |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
18 | 리스크란? | 불확실성, 손실 가능성 |
19 | 수익률 계산 | 투자 성과를 숫자로 표현 |
🔹 20~29편: 투자 원칙과 금융시장
편 | 주제 | 핵심 내용 |
20 | 복리의 힘 |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수익 |
21 | 장기투자 | 복리의 진가를 보려면 시간 필요 |
22 | 시간 vs 타이밍 | 시장 예측보다 시간에 투자 |
23 | 시장이란? | 자산이 거래되는 모든 장소 |
24 | 주식시장 구조 | 기업 ↔ 투자자 ↔ 거래소 |
25 | 채권시장 구조 | 빚의 거래소 |
26 | 외환시장 | 통화 간의 가치 교환 시장 |
27 | 금리란? | 돈의 가격 |
28 | 인플레이션 | 돈의 가치 하락, 물가 상승 |
29 | 디플레이션 | 반대 현상, 위험 요소 많음 |
🔹 30~39편: 리스크, 안전자산, 금리
편 | 주제 | 핵심 내용 |
30 | 투자 리스크 종류 | 시장, 신용, 유동성 등 다양 |
31 | 복리의 함정 | 수익률도 리스크에 영향 받음 |
32 | 인플레와 실질수익 | 물가 고려한 실제 수익 |
33 |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
34 | 명목 vs 실질수익 | 헷갈리기 쉬운 개념 구분 |
35 | 안전자산이란? | 위기 상황에서도 신뢰 받는 자산 |
36 | 금은 왜 안전자산일까? | 역사적 신뢰, 희소성 |
37 | 달러가 안전자산인 이유 | 기축통화, 신뢰와 유동성 |
38 | 채권도 안전자산일까? | 국가/기업 신용 따라 달라짐 |
39 | 안전자산의 역할 | 위기 시 자산 보호 수단 |
🔹 40~49편: 금리와 시장의 흐름
편 | 주제 | 핵심 내용 |
40 | 중앙은행이란? | 통화정책, 경제 조율 기관 |
41 | 기준금리란? | 시중금리의 기준 |
42 | 금리는 왜 오르내릴까? | 인플레, 경기 대응 |
43 | 금리 인상 영향 | 대출·투자 ↓, 자산가치 ↓ |
44 | 금리 인하 영향 | 소비·투자 ↑, 자산가치 ↑ |
45 | 인플레 잡는 금리 정책 | 금리↑ = 수요↓ = 물가↓ |
46 | 금리와 경기 관계 | 금리 = 경기의 온도 조절기 |
47 | 금리와 기업 | 자금 조달·이익에 영향 |
48 | 금리와 가계 | 대출·소비에 직접 영향 |
49 | 금리와 투자전략 | 환경 따라 전략 변화 필요 |
🔹 50~59편: 시장과 경제의 연결
편 | 주제 | 핵심 내용 |
50 | 통화정책 vs 재정정책 | 중앙은행 vs 정부 |
51 | 통화량이란? | 시중에 풀린 돈의 양 |
52 | 유동성이란? | 돈의 흐름, 거래 가능성 |
53 | 유동성과 자산시장 | 돈 많으면 자산가격 ↑ |
54 | 금리 vs 유동성 | 금리↓ = 유동성↑ (보통) |
55 | 물가 지표 | CPI, PPI 등 인플레 판단 지표 |
56 | 인플레와 자산가격 | 완만한 인플레 = 긍정적 |
57 | 경기 사이클 | 확장→정점→수축→저점 반복 |
58 | 사이클과 투자 | 시점 따라 전략 달라야 함 |
59 | 금리 변화의 순서 | 시장→채권→금리→실물경기 |
🔹 60~69편: 투자 수익의 구조 & 금리 영향
편 | 주제 | 핵심 내용 |
60 | 투자수익 구조 | 현금흐름 vs 자본이득 |
61 | 배당이란? | 현금흐름의 대표적 예 |
62 | 자본이득이란? | 싸게 사서 비싸게 팔기 |
63 | 경제성장이란? | 국민이 더 많은 가치 창출 |
64 | 성장의 원동력 | 생산성, 기술, 인구 |
65 | 인플레와 성장 | 적당한 인플레는 성장 신호 |
66 | 중앙은행의 역할 | 금리 조절로 경제 관리 |
67 | 금리와 성장 | 성장 초기엔 저금리 유지 |
68 | 중앙은행 = 보이지 않는 손 | 통화량·금리로 조율 |
69 | 금리 변화와 자산시장 | 자산별로 반응 다름 |
🔚 앞으로의 내용 예고
- 70편: 양적완화와 양적긴축이란?
- 71편: 중앙은행은 돈을 어떻게 찍어내는가?
- 72편: 금리가 0%일 때 생기는 일
- 73편: 왜 금리만으로는 한계가 있을까?
- 74편 이후: 실전 투자 전략에 필요한 ‘매크로 분석법’, '시장 심리' 등
반응형
'돈 공부 > 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71편 : 중앙은행은 돈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돈을 찍는다’는 말, 진짜로 인쇄기 돌린다는 뜻일까?” (4) | 2025.06.21 |
---|---|
📘 70편 : 양적완화와 양적긴축이란? - “중앙은행이 돈을 푼다는 게 무슨 뜻일까?” (3) | 2025.06.20 |
💰 69편 : 기준금리 변화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금리가 오르면 주식은 떨어질까?” (2) | 2025.06.19 |
🏦 68편 : 중앙은행은 어떤 일을 할까? - “경제를 조절하는 보이지 않는 손” (3) | 2025.06.18 |
🏦 67편 : 금리는 왜 중요한가? - 경제와 투자 모든 것의 중심축 (5)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