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공부/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 69편 : 기준금리 변화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금리가 오르면 주식은 떨어질까?”

by RICH ROOT 2025. 6. 19.

🔁  지금까지 연결

[63편] 경제성장 = 투자 수익의 토대
[64~67편] 인플레이션, 금리, 안전자산
[68편] 중앙은행 = 금리 조절자
[69편] 금리 변화가 실제 자산시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1️⃣ 기준금리란?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금리

→ 이 금리를 기준으로 시중은행들의 대출/예금 금리가 정해져
→ 결국 모든 금리는 기준금리를 따라 움직이게 돼

즉, 기준금리 = 금리의 중심축


2️⃣ 기준금리와 자산시장

기준금리는 투자자들에게 <‘돈의 가치’>를 알려주는 시그널이야.

📈 금리 인상 = 돈의 가치 상승
→ 대출이 비싸짐 → 소비·투자 ↓
→ 경기 둔화 우려 → 자산가격 하락 압력

📉 금리 인하 = 돈의 가치 하락
→ 대출이 쉬워짐 → 소비·투자 ↑
→ 경기 회복 기대 → 자산가격 상승 압력


3️⃣ 각 자산별 반응

🟢 주식

  • 금리 인상 → 기업 이익 ↓, 투자 ↓ → 주가 하락 요인
  • 금리 인하 → 경기 회복 기대, 유동성 확대 → 주가 상승 요인

특히 기술주, 성장주는 금리 변화에 더 민감해!

🟠 채권

  • 금리 인상 → 기존 채권의 매력 ↓ → 가격 하락
  • 금리 인하 → 기존 채권의 금리 상대적 ↑ → 가격 상승

금리와 채권 가격은 항상 반대로 움직여

🔵 부동산

  • 금리 인상 → 대출이자 ↑ → 수요 ↓ → 가격 하락 압력
  • 금리 인하 → 대출이자 ↓ → 수요 ↑ → 가격 상승 요인

특히 장기금리의 움직임이 더 중요해


4️⃣ 왜 금리가 그렇게 중요한 걸까?

✅ 금리는 ‘돈의 가격’
→ 금리가 높아지면 돈이 귀해짐
→ 위험 자산보다 안정 자산 선호

✅ 자산의 ‘현재 가치’를 바꾼다
→ 미래에 벌 돈을 지금으로 환산할 때,
→ 금리가 높으면 현재 가치가 낮아짐
→ 주식, 부동산처럼 미래 수익을 보는 자산은 더 민감하게 반응


📌 요약

  • 기준금리는 모든 금리의 기준
  • 금리 인상 = 자산시장에 부정적 신호 (일반적)
  • 금리 인하 = 자산시장에 긍정적 신호
  • 자산마다 반응이 다르고, 속도도 다름
    → 투자자는 금리 변화를 예민하게 파악해야 해

🔜 다음 편 예고
70편 : 양적완화와 긴축은 무엇일까?
중앙은행이 금리 말고도 쓰는 비장의 무기! 돈을 풀거나 조이는 그 방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