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한 개념> DE-FI(디파이)가 뭐야?투자 공부 2021. 12. 19. 18:16
DE-FI 정의
탈 중앙화를 뜻하는 ‘decentralize’와 금융을 의미하는 ‘finance’의 합성어
탈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일컫는 말로, 정부나 기업 등 중앙기관의 통제 없이 인터넷 연결만 가능하면 블록체인 기술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코인을 담보로 잡고 대출을 내주거나, 코인을 예치하면 파격적 이자를 준다.
간단히 말해서 코인을 예치하면, 유동성을 공급한 대가로 코인을 이자로 주는 것입니다.
DE-FI 종류
위에 사진에 나와있는 것 말고도 수많은 디파이 코인들이 존재합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검색하시면 나오니 찾아보시면 됩니다.
DE-FI를 통해 수익 얻기
디파이 코인을 통해 수익을 얻는 방법은
① 시세 차익을 통한 매매
이건 그냥 다른 코인들과 마찬가지로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방법입니다.
② 예치를 통한 이자 얻기
디파이 플랫폼에 해당 코인을 예치하여 이자를 받는 방법입니다. 장기 투자자분들께는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특정 디파이 코인의 펀더멘탈을 분석해 장기적으로 이 코인은 오를 것이라 판단한다면 거래소 묵혀두지 말고, 해당 코인 플랫폼에 예치하여 두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은행 이자처럼 계속 코인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죠. (반대로 코인의 시세가 떨어지면 그만큼 빠른 대응을 하기 힘든 단점도 있습니다.)
저는 KLAYswap이라는 곳에 예치 중입니다. 물론 큰 금액은 아니고 경험 삼아 하는 거라 10만 원 정도 넣었죠.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일반 시중 은행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이자율입니다.
주의 사항 : 높은 이자를 평생 받는 것은 아니고, 활성화가 되면 될수록 이자가 낮아진다는 특징이 있으니 무조건 높은 이자율만 보고 투자하시면 절. 대.로. 안됩니다.
풀 예치와 스테이킹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짧게 설명하자면 풀예치는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이고, 스테이킹은 일종의 적금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풀예치는 내가 원하면 언제든(코인마다 다를 수 있으니 확인 잘 하셔야 합니다.) 예치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스테이킹은 일정 기간이 지나기 전까지는 해제할 수 없습니다.
마치며
투자를 하실 분들은 충분한 정보를 알아보고 하시길 권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남'이 아닌 '본인'에게 있습니다. 그러니 남들이 한다고 다 따라 하시면 안 됩니다.
반응형'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한 개념> 버핏 지수가 뭐야? (0) 2021.12.22 <하루 한 개념> OEM, ODM이 뭐야? (0) 2021.12.21 <하루 한 개념> ETF가 뭐야? (0) 2021.12.20 <하루 한 개념 투자 공부> IPO(기업공개)가 뭐야? (0) 2021.12.18 <하루 한 개념 투자 공부> 시가 총액이란? (2) 2021.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