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GDP는 2조 달러입니다.”
…그래서 그게 좋은 거야? 나쁜 거야?
🔄 지금까지 개념 연결
- [50편] 인플레이션이 자산을 바꾼다
- [51편] 실질 vs 명목 수익률
- [52편] 이제는 국가 단위의 ‘실질 경제력’을 보는 눈 키우기
💬 GDP란?
Gross Domestic Product
= 국내 총생산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액
쉽게 말해:
“1년 동안 나라 안에서 얼마나 돈이 돌았는지” 보여주는 숫자
🇰🇷 왜 GDP가 중요한가?
- 나라의 부유함, 성장 속도 판단
- 다른 나라와 경제력 비교 가능
- 정부의 정책 방향 설정 기준
💡 GDP 구성 4요소 (지출 접근법)
GDP = C + I + G + (X - M)
구성요소 | 의미 |
C | 소비 (개인이 쓴 돈) |
I | 투자 (기업의 설비 투자 등) |
G | 정부 지출 (복지, 인프라 등) |
X | 수출 |
M | 수입 |
📌 (X - M)은 순수출
→ 수출이 많으면 GDP 증가,
→ 수입이 많으면 GDP 감소
📉 GDP가 줄어든다는 건?
“나라 안에서 생산되는 상품과 서비스가 줄어든다”
→ 경기가 침체되고 있다는 신호
→ 기업 실적↓, 소비자 지출↓
👉 투자자 입장: 리스크 관리 시점
❗ GDP 숫자에 속지 말자
① GDP만 보면 착각하는 이유
- 한국 GDP: 2조 달러
- 인도 GDP: 3.7조 달러
👉 인도가 더 부자 나라?
🙅♂️ No. 인구가 다르잖아.
② 그래서 등장하는 개념: 1인당 GDP
1인당 GDP = GDP ÷ 인구수
- 한국: 약 3만 3천 달러
- 인도: 약 2천 달러
👉 실제 생활 수준은 한국이 훨씬 높다
🧠 핵심 요약
- GDP는 나라 경제의 총생산량
-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출입으로 구성
- GDP 자체보다, 1인당 GDP나 성장률을 같이 봐야 정확
- GDP가 줄면, 투자자도 주의할 타이밍
🚀 다음 편 예고
📘 53편 : 경기순환이란? – 경제는 왜 계속 오르락내리락할까?
경기침체, 확장국면, 불황, 회복…
경제가 반복되는 이유와
지금이 어떤 시기인지 읽는 법!
→ 투자 타이밍을 잡는 핵심 지표 등장!
반응형
'돈 공부 > 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54편 : 금리란 무엇인가 – 이 숫자 하나가 세상을 흔든다 (5) | 2025.06.04 |
---|---|
📘 53편 : 경기순환이란? – 경제는 왜 계속 오르락내리락할까? (5) | 2025.06.03 |
📘 51편 : 실질 수익률 vs 명목 수익률 – 숫자에 속지 않는 투자자가 되는 법 (4) | 2025.06.01 |
📘 50편 : 인플레이션과 자산의 관계 – 무엇이 오르고, 무엇이 무너질까? (3) | 2025.05.31 |
📘 49편 : 부동산 투자의 기본 구조 – 월세받는 구조 만들기 (6) | 2025.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