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왜 주식이 폭락하지?
🔄 지금까지 개념 연결
- [50편] 인플레이션
- [52편] GDP
- [53편] 경기순환
- [54편] 경기 조절 도구 = 금리
→ 이제 시장 흐름을 더 입체적으로 볼 수 있어!
💡 금리란?
돈의 가격
= 돈을 빌리는 데 드는 이자율
쉽게 말해, “돈을 빌리는 데 붙는 수수료”
📊 기준금리 vs 시장금리
📌 기준금리
→ <중앙은행(ex.한국은행)>이 결정
→ 시중은행 금리, 대출금리, 예금금리 전부에 영향
📌 시장금리
→ 실제 우리가 경험하는 금리
(예: 주택담보대출 금리, 예금 이자율 등)
🔁 금리는 왜 오르고 내릴까?
경기 과열 →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으로 돈줄 조임
경기 침체 → 소비·투자 줄어듦
→ 중앙은행이 금리 인하로 돈 풀기
📉 금리 인상 vs 📈 금리 인하
구분 | 금리 인상 | 금리 인하 |
돈 빌리는 비용 | ↑ 비싸짐 | ↓ 싸짐 |
소비·투자 | ↓ 줄어듦 | ↑ 증가함 |
경기 영향 | 🔽 냉각 | 🔼 활성화 |
자산시장 | 📉 주식·부동산 약세 | 📈 주식·부동산 강세 |
환율 영향 | 💵 외국 자금 유입 → 환율 하락 가능 | 💸 자금 유출 위험 → 환율 상승 가능 |
💰 투자자 입장에서 금리란?
금리는 모든 자산 시장에 영향을 주는 변수
- 주식시장:
금리 ↑ → 기업 대출 부담 ↑ → 실적↓ → 주가↓ - 부동산:
금리 ↑ → 대출 이자 ↑ → 수요↓ → 가격 하락 가능 - 코인:
위험자산 → 금리↑ 땐 자금 이탈 - 채권:
금리↑ → 기존 채권 가치↓ (왜? 더 높은 이자를 주는 채권이 생기니까)
📌 실전 투자 팁
- 금리가 오르기 시작하면 리스크 관리
- 금리 피크아웃(정점) 이후엔, 성장주 기회
- 금리 인하 사이클 땐 위험자산 투자 확대 고려
🧠 핵심 요약
- 금리는 돈의 가격
- 중앙은행은 금리로 경기 조절
- 금리의 움직임은 주식, 채권, 부동산, 코인에 전부 영향
- 금리 사이클을 읽으면 투자 타이밍을 잡을 수 있다
🚀 다음 편 예고
📘 55편 : 중앙은행이란 무엇인가 – 시장을 움직이는 숨은 조종자
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곳,
돈을 찍고, 위기를 막는 마지막 보루.
중앙은행이 뭔지 알면,
경제의 판을 움직이는 손이 보이기 시작해.
반응형
'돈 공부 > 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56편 : 양적완화란 무엇인가 – 돈을 찍어서 위기를 푼다고? (6) | 2025.06.06 |
---|---|
📘 55편 : 중앙은행이란 무엇인가 – 시장을 움직이는 숨은 조종자 (3) | 2025.06.05 |
📘 53편 : 경기순환이란? – 경제는 왜 계속 오르락내리락할까? (5) | 2025.06.03 |
📘 52편 : GDP란 무엇인가 – 나라의 경제 성적표 읽는 법 (3) | 2025.06.02 |
📘 51편 : 실질 수익률 vs 명목 수익률 – 숫자에 속지 않는 투자자가 되는 법 (4)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