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개념 연결
- [9편] 주식 = 기업의 조각
- [40편] 주식 본질과 장기 투자
- [41편] 좋은 주식 고르는 법
- ➕ [42편] “직접 고르기 힘들면 ETF라는 대안도 있다!”
🍱 ETF는 ‘도시락 투자’
- ETF = Exchange Traded Fund
- 해석: 거래소에 상장된 펀드
- ✅ 한 종목만 사는 게 아니라, 여러 주식을 묶어 한 번에 사는 상품
🧠 비유:
- 일반 주식 = 재료 하나하나 사는 것
- ETF = 여러 재료가 완성된 도시락
📌 예:
‘코스피 200 ETF’ = 코스피 상위 200개 기업을 한 번에 사는 것
📈 ETF의 장점
1. 분산 투자
- 한 종목 망해도 전체는 살아남을 수 있음
2. 간편함
- 전문가가 구성해줘서, 따로 분석 안 해도 됨
3. 비용 저렴
- 일반 펀드보다 수수료 낮음
- (운용보수 0.1~0.5% 수준)
4. 장중 실시간 매매 가능
- 일반 펀드는 하루에 한 번 거래
- ETF는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음
🧪 ETF는 어떻게 구성돼?
ETF 이름 | 구성 내용 | 예시 |
코스피 200 ETF | 코스피 상위 200개 종목 | KODEX 200 |
나스닥 100 ETF | 미국 나스닥 대표 100개 | QQQ |
배당주 ETF | 고배당 종목만 모음 | KBSTAR 고배당 |
2차전지 ETF | 2차전지 관련주만 | TIGER 2차전지테마 |
📌 이름을 보면 무엇이 들었는지 대부분 유추 가능!
🛠️ ETF 투자 시 주의사항
- ✅ 너무 소형 테마 ETF는 변동성 큼
- ✅ 운용사/운용보수 확인
- ✅ 분산돼 있다고 방심 금지 — 결국 투자는 리스크 동반
🧠 핵심 정리
- ETF는 쉽고, 안전하게, 넓게 투자하는 방식
- “내가 주식을 직접 고르기 어려워요” → ETF가 정답일 수 있다
- 초보자라면 ETF부터 시작해도 절대 늦지 않다
🚀 다음 편 예고
📘 43편 : 인덱스 투자란 무엇인가?
ETF를 똑똑하게 쓰는 법,
워렌 버핏도 추천한 투자법 = 인덱스 투자!
반응형
'돈 공부 > 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44편 : 인덱스 투자에 복리를 더하면 생기는 일 - “수익률은 작아 보여도, 시간은 우리 편이다” (0) | 2025.05.25 |
---|---|
📘 43편 : 인덱스 투자란 무엇인가? - “내가 주식을 못 골라도 괜찮다. 시장 전체를 사면 된다.” (1) | 2025.05.24 |
📘 41편 : 좋은 주식은 어떻게 고를까?" - 오르는 주식 말고, 살아남는 주식을 골라라." (5) | 2025.05.22 |
📘 40편 : 주식이란 무엇인가? (심화) - "단순히 '오르면 좋고 떨어지면 나쁜 것' 그 이상이다." (3) | 2025.05.21 |
📘 39편 : 당신에게 맞는 자산 배분은? - "내 돈, 어떻게 나눠 담아야 할까?" (4)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