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연결
- [58~60편] 버블 → 리세션 → 시장 사이클
- 이번 61편은 그 흐름을 이해한 뒤
지금 시장이 어디쯤인지 판단하는 툴이야
🐂 강세장(Bull Market)
“시장 전체가 상승세를 타는 구간”
- 주가가 장기적으로 꾸준히 상승
- 투자자들 심리: 낙관적, 긍정적
- 저가 매수가 빠르게 들어옴
- 기업 실적 기대감 증가 → PER 상승
📌 기준:
일반적으로 20% 이상 상승하면 강세장으로 본다
📈 강세장의 특징
- 실업률 ↓, 소비 ↑
- 중앙은행: 저금리 유지 또는 완화적
- 신흥산업이 성장주도
- IPO 활발, "코인·주식 아무거나 사도 오른다" 분위기
🔑 투자 전략:
→ 추세 매매
→ 눌림목 매수
→ 분할 매수 & 보유
🐻 약세장(Bear Market)
“시장 전체가 하락 추세에 들어가는 구간”
- 주가가 전반적으로 계속 하락
- 투자자들 심리: 공포, 부정적
- 악재에 과하게 반응, 주가 폭락
- 수익성보다 ‘리스크 회피’가 중요해짐
📌 기준:
보통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 진입으로 간주
📉 약세장의 특징
- 실업률 ↑, 소비 ↓
- 중앙은행: 긴축 또는 금리 인상
- 투자심리 급속 냉각
- 공포심리 확산 → 투매 현상
🔑 투자 전략:
→ 현금 비중 확대
→ 방어적 자산 (채권, 금)
→ 숏 포지션 or 역방향 ETF 고려
💡 사이클과의 연결
시장 사이클 단계 | 강세 / 약세 |
회복 ~ 호황 | 강세장 |
과열 ~ 침체 | 약세장 |
※ 단, 강/약세장은 시장 전반의 심리와 지표 움직임이 기준이므로
사이클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어!
🗝️ 정리
- 강세장: "위로 간다"는 믿음, 상승에 베팅
- 약세장: "떨어질 수 있다"는 공포, 방어가 중요
- 내 포지션은 시장 흐름에 맞춰야 살아남는다
📘 다음 편 예고
62편 : 현금흐름 vs 자본이득, 투자 수익의 두 축
배당, 월세, 이자수익이 좋은 걸까?
아니면 가격 상승으로 버는 게 맞을까?
반응형
'돈 공부 > 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3편 : 경제성장이란 무엇인가? - “왜 뉴스에서 GDP가 중요하다고 할까?” (5) | 2025.06.13 |
---|---|
💸 62편 : 현금흐름 vs 자본이득 - “투자는 결국 돈이 들어오는 방식의 싸움이다” (7) | 2025.06.12 |
📘 60편 : 시장 사이클 완전 정복 - “불황 → 회복 → 호황 → 과열 → 침체, 이 흐름을 알아야 산다!” (4) | 2025.06.10 |
📘 59편 : 경제 과열, 좋아 보이지만 위험한 이유 - “경제가 너무 잘 나가면 왜 걱정해야 할까?” (5) | 2025.06.09 |
📘 58편 : 리세션(Recession), 위기인가 기회인가? - “침체가 오면 자산시장은 어떻게 반응할까?” (4)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