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공부/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 61편 : 강세장 vs 약세장 완전정복 - “소가 이기나, 곰이 이기나? 흐름을 읽는 자가 돈을 번다.”

by RICH ROOT 2025. 6. 11.

🧠 지금까지 연결

  • [58~60편] 버블 → 리세션 → 시장 사이클
  • 이번 61편은 그 흐름을 이해한 뒤
    지금 시장이 어디쯤인지 판단하는 툴이야

🐂 강세장(Bull Market)

“시장 전체가 상승세를 타는 구간”

  • 주가가 장기적으로 꾸준히 상승
  • 투자자들 심리: 낙관적, 긍정적
  • 저가 매수가 빠르게 들어옴
  • 기업 실적 기대감 증가 → PER 상승

📌 기준:
일반적으로 20% 이상 상승하면 강세장으로 본다


📈 강세장의 특징

  • 실업률 ↓, 소비 ↑
  • 중앙은행: 저금리 유지 또는 완화적
  • 신흥산업이 성장주도
  • IPO 활발, "코인·주식 아무거나 사도 오른다" 분위기

🔑 투자 전략:
→ 추세 매매
→ 눌림목 매수
→ 분할 매수 & 보유


🐻 약세장(Bear Market)

“시장 전체가 하락 추세에 들어가는 구간”

  • 주가가 전반적으로 계속 하락
  • 투자자들 심리: 공포, 부정적
  • 악재에 과하게 반응, 주가 폭락
  • 수익성보다 ‘리스크 회피’가 중요해짐

📌 기준:
보통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 진입으로 간주


📉 약세장의 특징

  • 실업률 ↑, 소비 ↓
  • 중앙은행: 긴축 또는 금리 인상
  • 투자심리 급속 냉각
  • 공포심리 확산 → 투매 현상

🔑 투자 전략:
→ 현금 비중 확대
→ 방어적 자산 (채권, 금)
→ 숏 포지션 or 역방향 ETF 고려


💡 사이클과의 연결

시장 사이클 단계 강세 / 약세
회복 ~ 호황 강세장
과열 ~ 침체 약세장
 

※ 단, 강/약세장은 시장 전반의 심리와 지표 움직임이 기준이므로
사이클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어!


 

🗝️ 정리

  • 강세장: "위로 간다"는 믿음, 상승에 베팅
  • 약세장: "떨어질 수 있다"는 공포, 방어가 중요
  • 내 포지션은 시장 흐름에 맞춰야 살아남는다

📘 다음 편 예고

62편 : 현금흐름 vs 자본이득, 투자 수익의 두 축
배당, 월세, 이자수익이 좋은 걸까?
아니면 가격 상승으로 버는 게 맞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