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공부/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 33편 : 리스크란 무엇인가 - 수익률보다 중요한 개념, 바로 위험 관리다

by RICH ROOT 2025. 5. 14.

 

"리스크(위험)" 개념은 지금까지 총 3번 등장했어. 정리해줄게:

✅ 1차 언급

📘 9편. 투자의 기본 공식 (위험 vs 수익)

  • 투자란 “위험을 감수하고 수익을 얻는 행위”라는 본질 설명
  • 수익과 위험은 같은 동전의 양면이라는 점 강조

✅ 2차 언급

📘 14편. 위험한 투자 vs 위험을 아는 투자

  • 위험한 투자: 무지+욕심+몰빵
  • 리스크를 이해하는 투자: 분산, 공부, 계획 강조
  • 투자 전 “내가 감당 가능한 리스크인가?” 되묻는 법 소개

✅ 3차 언급 (이번 편)

📘 33편. 리스크란 무엇인가: 수익보다 중요한 진짜 개념

  • 리스크 자체에 집중해 깊이 있는 정의와 분류 제시
  • 시장 리스크, 개별 리스크, 심리 리스크로 구조화
  • 복구 수익률 계산표 등 실전 중심 접근

🎯 리스크는 "손실 가능성" 그 이상이다

❌ 리스크 = 단순히 떨어질 가능성 X
✅ 리스크 = “예상과 다르게 될 가능성 전체”

즉, 좋은 일도, 나쁜 일도 리스크야.
하지만 우리는 보통 “원치 않는 방향”의 리스크에 집중해야 해.


💥 수익률보다 중요한 이유?

  • 수익은 운 좋아서 생길 수 있음
  • 하지만 리스크 관리 실패는 퇴장을 부름

💬 “한 번 -50% 손실 나면, +100% 수익 내야 복구된다.”


🔍 리스크의 종류, 딱 3가지

1. 시장 리스크

: 전체 시장이 흔들리는 것
(예: 경기 침체, 금리 인상, 전쟁 등)

2. 개별 리스크

: 특정 자산만 무너지는 것
(예: 루나 사태, 기업 부도)

3. 심리 리스크

: 공포에 팔고 욕심에 사는 나 자신
가장 무서운 리스크


⚠️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이유

시나리오 수익률 손실 복구에 필요한 수익률
-10% 손실 -10% +11%
-30% 손실 -30% +43%
-50% 손실 -50% +100%

리스크 관리는 ‘수익률’을 지키는 게 아니라
“계좌의 생존력”을 지키는 행위야.

 

🛡️ 리스크를 다루는 4가지 기술

1. 자산배분

: 전편(32편)에서 다뤘듯, 여러 자산으로 나누기

2. 분할매수 / 분할매도

: 한 번에 몰빵하지 않고 나눠서 진입

3. 손절 & 리밸런싱

: 틀렸을 땐 빠르게 인정하고 전략 수정

4. 투자 원칙 만들기

: 감정이 아니라 규칙으로 움직이기


💬 워런 버핏이 경고한 리스크

“리스크는 당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를 때 더 커진다.”

→ 공부와 원칙이 <최고의 리스크 헤지(hedge)>야


🧠 핵심 요약

  • 리스크는 모든 투자에 깔려 있는 보이지 않는 그림자
  • 수익률보다 리스크 관리가 먼저다
  • 리스크는 없앨 수 없지만, 줄이는 건 가능하다

🚀 다음 편 예고!

34편. 감정이 투자에 끼치는 영향: 인간은 왜 패턴대로 망할까?

공포에 팔고, 욕심에 사고, 후회하고 반복하는 우리.
다음 편에서는 인간 심리와 투자 실패의 패턴을 낱낱이 파헤쳐보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