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공부/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 62편 : 현금흐름 vs 자본이득 - “투자는 결국 돈이 들어오는 방식의 싸움이다”
RICH ROOT
2025. 6. 12. 00:00

🧠 지금까지 연결
- [52~55편] 복리와 장기투자
- [61편] 강세장/약세장 → 시장 상황에 따라
- [62편] 투자 수익 방식 선택까지!
이제 투자 ‘수익 구조’에 대한 프레임이 생긴 거야.
1️⃣ 현금흐름(Cash Flow)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수익”
- 예시:
- 배당금 (주식)
- 이자수익 (채권, 예금)
- 임대료 (부동산)
- 특징:
✅ 안정적인 수익 구조
✅ 불황에도 현금이 계속 들어옴
✅ 투자 원금은 그대로일 수 있음 - 장점:
→ 생활비, 노후 자금에 유리
→ 심리적 안정감 - 단점:
→ 큰 부를 쌓기엔 느릴 수 있음
→ 수익률이 낮을 때도 있음
2️⃣ 자본이득(Capital Gain)
“자산의 가치 상승으로 얻는 수익”
- 예시:
- 주식 매매 차익
- 코인 가격 상승분
- 부동산 시세차익
- 특징:
✅ 수익은 일시적이지만 크게 벌 수 있음
✅ 적절한 타이밍이 핵심
✅ 고수익 = 고위험 - 장점:
→ 자산을 빠르게 불릴 수 있음
→ 복리의 힘이 크게 작용 - 단점:
→ 실현 전까지는 ‘가상의 수익’
→ 타이밍 실패 시 손실 위험 큼
🔄 두 방식의 비교
항목 | 현금흐름 | 자본이득 |
수익 발생 | 정기적 (월/분기) | 매도 시점에 일시적 |
안정성 | 상대적으로 높음 | 낮음 (변동성 큼) |
재투자 전략 | 배당 재투자 등 가능 | 복리효과 활용 가능 |
리스크 관리 | 쉬움 | 어렵고 심리 소모 큼 |
🧠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정답은 “혼합”이야.
안정성과 성장성을 균형 있게 가져가는 게 핵심.
- ✅ 단기 생존: 현금흐름
- ✅ 장기 부자 되기: 자본이득
📌 실전 조합 예시
- 배당주 + 성장주
- 월세 수익형 부동산 + 시세차익 기대 자산
- 고정 수익 채권 + 고위험 고수익 자산 (예: 비트코인)
🗝️ 요약
- 현금흐름: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수익
- 자본이득: 큰 수익을 노리는 성장형 전략
- 둘 다 이해하고 조합하면 투자 수준이 한 단계 올라감
📘 다음 편 예고
63편 : “경제 성장”이란 뭘까?
왜 정부는 성장률에 목숨을 걸까?
GDP, 성장률, 투자와의 관계를 파헤쳐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