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공부/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 53편 : 경기순환이란? – 경제는 왜 계속 오르락내리락할까?
RICH ROOT
2025. 6. 3. 00:00
“요즘 경기가 좋아요”
“지금은 불황이죠”
도대체 기준이 뭐야?
🔄 지금까지 개념 연결
- [50편] 인플레이션과 자산
- [52편] GDP로 국가의 흐름 보기
- [53편] 경기순환으로 경제의 흐름 예측하기
💡 경기순환이란?
경제는 절대 한 방향으로만 가지 않아.
좋아졌다가(확장) →
나빠졌다가(수축) →
다시 회복하는 흐름이 반복돼
이걸 경기순환, 또는 경제 사이클이라고 해.
📊 경기순환의 4단계
- 회복기 (Recovery)
: 바닥 찍고 경제가 다시 살아나는 시기
→ 실업률 ↓, 기업 실적 ↑, 투자자 심리 개선 - 확장기 (Expansion)
: 경기가 뜨겁게 좋아지는 시기
→ 소비 증가, 임금 상승, 주가 상승
→ 하지만 동시에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져 - 과열기 (Boom)
: 너무 좋아서 오히려 위험한 시기
→ 버블, 과잉 투자, 자산 가격 폭등
→ 정부가 금리 인상 같은 조치를 함 - 수축기/침체기 (Recession)
: 소비↓, 투자↓, 실업↑
→ 기업도 망하고 주식도 폭락할 수 있는 시기
🎯 왜 알아야 할까?
경기 사이클을 알면,
투자 타이밍을 잡을 수 있어!
시기 | 투자자 전략 예시 |
회복기 | 주식/ETF 투자 시작, 저가 매수 기회 |
확장기 | 성장주 중심, 공격적 투자 |
과열기 | 리스크 관리, 이익 실현 고려 |
침체기 | 방어적 자산 (현금, 금, 단기채권 등) 보유 |
🧭 어디서 경기 순환을 확인할 수 있을까?
- 국가 통계청, 중앙은행 자료
- 금리 변화: 금리가 내려가면 회복기, 올라가면 과열기 억제 중
- 고용률, 소비자심리지수, 제조업지수 등
→ 투자자는 이 지표들을 통해
지금이 어떤 시기인지 짐작할 수 있어야 해.
🧠 핵심 요약
- 경제는 4단계 순환: 회복 → 확장 → 과열 → 수축
- 각 시기마다 투자 전략이 달라야 함
- 지금이 어느 시기인지 파악하면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 다음 편 예고
📘 54편 : 금리란 무엇인가 – 이 숫자 하나가 세상을 흔든다
투자자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어: 금리
근데 금리가 오르면 왜 주식이 떨어질까?
📉 왜 부동산, 코인까지 영향을 받을까?
금리의 정체와 그 파급력,
다음 편에서 전부 알려줄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