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연결
[72,73편] 금리란 무엇인가?
[77편] 금리와 자산시장
[92 ~ 96편] 금리와 환율, 통화전쟁, 기준금리 결정까지
이번 편은 이 흐름의 핵심 정리라고 볼 수 있어.
💡 금리가 오르면 투자시장에 왜 영향이 있을까?
기준금리는 ‘돈의 값’이야.
→ 금리가 오르면 돈이 비싸짐 → 대출·소비·투자가 위축돼
→ 그 여파가 주식, 채권, 부동산 시장에 각각 다르게 작용하지.
📉 1. 주식시장
금리 인상 → 주식에 부정적
- 기업 대출 비용 증가 → 순이익 감소
- 소비 위축 → 매출 둔화
- 미래 기대 수익의 현재가치 ↓ → 주가 하락 압력
- 채권 수익률 ↑ → 주식보다 채권이 매력 있어짐
📌 예시:
미국 금리 인상기엔 나스닥 기술주가 약세인 경우가 많아
📉 2. 채권시장
금리 인상 → 기존 채권 가격 하락
- 시장 금리가 오르면 → 예전 낮은 금리로 발행된 채권은 덜 매력적
→ 가격 하락
📌 금리 ↑ → 신규 채권 수익률 ↑ / 기존 채권 가격 ↓
→ 금리와 채권 가격은 역의 관계
🏠 3. 부동산 시장
금리 인상 → 부동산에도 부정적
- 주택담보대출 금리 ↑ → 수요 감소
- 투자 심리 위축 → 거래량·가격 하락 가능
📌 특히 레버리지를 많이 쓰는 부동산 시장엔 민감하게 반응
💵 예외는 있을까?
✅ 금융주(은행 등)
→ 금리 인상 시 대출이자 수익 ↑ → 오히려 수혜 가능
✅ 일부 필수소비재 업종
→ 금리와 무관하게 일정한 소비 유지
📌 요약
- 금리 인상 = 돈이 비싸짐 → 소비·투자 위축
- 주식: 기업 실적 둔화·미래 수익 할인 → 부정적
-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비례 → 기존 채권은 손해
- 부동산: 대출 부담 ↑ → 가격 압력
- 하지만 일부 업종은 예외적 수혜
🔜 다음 편 예고
📘 98편 : 금리 인하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반대로, 금리를 낮추면 자산시장엔 어떤 변화가 생길까?
반응형
'돈 공부 > 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99편 : 금리와 인플레이션의 줄다리기 - “물가 잡으려 금리 올리면 경기는 죽고… 계속 이렇게 싸우는 거야?” (2) | 2025.07.19 |
---|---|
📘 98편 : 금리 인하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금리 낮춘다고 왜 주식이 오를까?” (3) | 2025.07.18 |
📘 96편 : 기준금리는 어떻게 결정될까? - “국가가 정하는 금리는 어떤 기준으로 움직일까?” (4) | 2025.07.16 |
📘 95편 : 통화전쟁이란? - “자국 화폐 가치를 낮추기 위한 경쟁” (2) | 2025.07.15 |
📘 94편 : 달러가 흔들리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 “달러의 가치가 요동치면 전 세계가 긴장하는 이유” (4)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