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배운 것들과 연결
- [63편] 경제성장 = GDP 증가
- [64편] 성장의 엔진 = 노동, 자본, 기술
- [65편] 성장은 직선이 아니라 사이클로 움직인다
👉 이 흐름을 알고 있어야
투자에서 "왜 오르거나 떨어지는지" 감이 생겨.
1️⃣ 경기 사이클이란?
“경제가 오르락내리락하는 흐름”을 말해.
경제는 항상 잘 나가진 않아.
어느 때는 막 성장하고,
어느 때는 멈칫하거나 줄어들기도 해.
이런 반복되는 흐름을
👉 "경기 순환(Cycle)"이라고 해!
2️⃣ 4단계로 나눠보자
📈 1. 확장기(Expansion)
- 경제가 성장 중!
- 기업들 이익도 늘고,
- 고용도 잘 되고,
- 사람들 소비도 많아져.
= 주식시장도 보통 이때 강세!
🔝 2. 정점(Peak)
- 경제가 너무 과열되면
- 물가가 오르고,
-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
이때부터 성장 속도가 둔화돼
📉 3. 수축기(Contraction) 또는 침체기(Recession)
- 소비 감소,
- 기업들 실적 악화,
- 실업자 증가
- 투자도 줄어들어
= 주식, 부동산도 같이 하락하기 쉬움
🔄 4. 저점(Trough)
- 경기가 바닥까지 내려와
- 다시 회복 준비!
- 금리 인하, 정부 재정지출 등
경기 부양책 등장
= 바닥에서 투자하면 큰 수익 기회가 오기도 해!
3️⃣ 실제로 이런 흐름이 반복돼
- 2008 금융위기 → 침체기
- 2010~2019 → 확장기
- 2020 코로나 → 급락(침체)
- 그 후 초강력 부양 → 확장기
- 그리고 다시 긴축 → 둔화
👉 경제는 계속 순환해
그래서 투자자들은 <"지금 어느 시점인가?">를 계속 판단하려고 해!
4️⃣ 왜 중요할까? (투자자 관점)
경기 단계 | 주로 오르는 자산 |
확장기 | 주식, 부동산 |
정점 | 현금 비중↑ 필요 |
침체기 | 채권, 현금 |
저점 | 주식 저가 매수 찬스 |
타이밍을 완벽히 맞출 순 없어도,
큰 흐름을 이해하는 건 필수!
📌 핵심 정리
- 경기 사이클은 4단계 (확장 → 정점 → 침체 → 저점 → 반복)
- 모든 자산 가격은 이 흐름에 영향을 받는다
- "지금 어디쯤인가?" 파악은 투자자에게 핵심 능력!
🔜 다음 편 예고
66편 :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물가가 오르면 왜 모두가 긴장할까?”
반응형
'돈 공부 > 경제, 투자, 돈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7편 : 금리는 왜 중요한가? - 경제와 투자 모든 것의 중심축 (5) | 2025.06.17 |
---|---|
💸 66편 :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 돈의 "가치"가 바뀌는 현상 (3) | 2025.06.16 |
🚀 64편 : 경제가 성장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성장은 저절로 일어나지 않는다!” (4) | 2025.06.14 |
📈 63편 : 경제성장이란 무엇인가? - “왜 뉴스에서 GDP가 중요하다고 할까?” (5) | 2025.06.13 |
💸 62편 : 현금흐름 vs 자본이득 - “투자는 결국 돈이 들어오는 방식의 싸움이다” (7) | 2025.06.12 |